치아 교정을 결정한 후에 선택해야 하는 것이 있는데 바로 교정 장치의 종류입니다. 교정 장치의 종류는 매우 다양해서 처음 설명을 들으면 선택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아래에 교정장치의 종류를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 두었으니 잘 읽어보시고 치아 상태에 적합하고 본인이 가장 선호하는 종류를 선택하시는데 도움 받으시길 바랍니다.
브라켓 종류에 따른 구분
브라켓은 교정을 해주는 와이어를 고정시키기 위해 치아 표면에 부착하는 작은 장치를 의미합니다. 이 브라켓의 소재에 따라 메탈, 레진, 세라믹 등 3가지로 구분됩니다.
1. 메탈 브라켓
가장 오래된 브라켓 소재로 현재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름처럼 전체가 금속으로 제작되어 있으며, 금속 재료 특성 상 정밀도, 효율성 및 고정력이 매우 높습니다. 그리고 금속이기 때문에 파손 가능성이 낮고 가장 저렴한 소재입니다. 다만 금속 재질에 색깔도 은색이기 때문에 미관상 좋지 않은 단점이 있습니다.
2. 레진 브라켓
흰색 레진 소재로 만든 브라켓으로 치아 색깔과 유사해서 눈에 잘 띄지 않기 때문에 메탈 브라켓 대비 미관상 좋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착색 가능성이 높고 금속에 비해서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파손 또는 마모 가능성이 있습니다.
3. 세라믹 브라켓
레진과 유사하지만 레진 대비 강도가 좋고 착색 가능성도 낮은 소재입니다. 메탈에 비해서는 강도가 낮아 사용 중 파손의 가능성이 있지만 최근 고강도 세라믹 제품이 많이 나오고 있어 파손은 크게 우려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결찰 방법에 따른 구분
치아 교정에서 결찰이란 브라켓에 와이어를 고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결찰 방식에 따라 일반 결찰과 자가 결찰 두 가지로 구분됩니다.
1. 일반 결찰 브라켓
브라켓 표면에 와이어를 고정할 수 없는 제품으로 치아별 결찰용 철사 또는 고무링을 이용해서 와이어를 고정해야 하는 브라켓입니다. 치아별로 철사나 고무링을 조여서 고정을 하기 때문에 환자는 치아가 조이는 불편함을 느끼게 되고 치료 시간도 길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결찰용 철사 때문에 입안이 찔려서 상처가 나는 경우도 있어서 그다지 선호되지 않는 방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자가 결찰 브라켓
일반 결찰과 반대로 브라켓 표면에 와이어를 고정할 수 있는 클립이 있어 철사나 고무링 없이 와이어를 고정시킬 수 있는 브라켓입니다. 똑딱이 처럼 부착했다가 쉽게 떼어낼 수 있는 형태로 진료시간이 짧고 입 안에 상처가 날 일이 없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선호하는 방식입니다.
한 번 고정하면 철사나 고무링을 조절할 필요 없이 지속적으로 교정 효과를 주기 때문에 일반 결찰 브라켓 대비 교정 기간도 되채 30% 이상 단축되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부착 부위에 따른 구분
교정 장치의 부착 부위에 따라 구분되는 방식으로 치아 표면에 부착하는 순측 교정과 치아 안쪽에 부착하는 설측교정, 그리고 두 가지 방식을 혼합하는 콤비 교정으로 구분됩니다.
1. 순측 교정
교정 장치를 치아 표면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대부분의 환자들이 선택하는 방식입니다. 일반적인 방식이기 때문에 저렴하지만 다른 사람의 눈에 바로 보이기 때문에 미관상 좋지 않다는 단점은 있습니다.
2. 설측 교정
교정 장치를 치아 안쪽면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육안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미관상 장점이 있지만 말할 때나 식사할 때 장치에 혀가 닿기 때문에 이물감이 느껴지고 발음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순측 교정에 비해 특수한 방식이기 때문에 비용이 다소 높습니다.
3. 콤비 교정
육안으로 많이 보이는 위쪽 치아는 설측 교정을 하고, 잘 보이지 않는 아래쪽 치아는 순측 교정을 하는 혼합 방식입니다. 설측 교정 대비 비용을 일부 절감할 수 있고 위쪽 치아의 교정 장치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미관상 효과도 높습니다.
기타 교정 장치 종류(브라켓 없는 교정)
위에서는 모두 브라켓이 있는 교정 장치에 대해 설명 드렸는데 브라켓을 사용하지 않는 교정 장치들도 있습니다.
1. 투명 교정
투명한 강화 플라스틱을 사용해 교정틀을 제작하여 치아에 끼워서 교정하는 방식으로 대표적인 브랜드로는 '인비절라인'이 있습니다. 필요에 따라 교정틀을 부착/탈착할 수 있기 때문에 치아 관리가 편하고 당연히 미관상 매우 좋습니다. 그러나 브라켓 방식에 비해서 교정력이 약하기 때문에 이 방식은 치과 상담 결과 가능하다는 판단을 받아야 적용이 가능합니다.
2. 부분 교정
치아 전체가 아니라 문제가 있는 부분만 교정을 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앞니는 괜찮은데 어금니가 어긋나 있는 경우 또는 일부 부정교합이 있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그러나 치아는 전체 교정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치과 상담을 통해 부분 교정으로도 충분하다는 판단을 받은 후에 적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3. 교정 스크류
잇몸뼈에 스크류를 박아서 치아를 이동시키는 방식입니다. 치아를 좀 더 빨리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치료 기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양한 치아 교정 방식이 있지만 무엇보다도 자신의 치아 배열 상태를 정확히 인지하고 치과 상담을 통해 본인에게 가장 적합한 교정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점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 함께 보면 유익한 글
▶ 치아 교정 기본 정보(시기, 가격, 교정 유형 등)
치아 교정 기본 정보(시기, 가격, 교정 유형 등)
치아 교정은 돌출된 치아, 덧니, 주걱턱, 아랫니가 윗니의 밖에 물리는 반대교합 등 부정교합을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치아 교정의 효과는 미용 측면도 있지만 무엇보다 치열이 고르게 되기 때
hot.skim.co.kr
치아 교정의 부작용 5가지
치아 교정은 오랜 시간 치료를 받는 만큼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으나 드물게 부작용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치아 교정 시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부작용 5가지와 예방법에 대해 정리해 두었으니
hot.skim.co.kr
'건강 정보 > 치아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아 교정의 부작용 5가지 (0) | 2022.11.17 |
---|---|
치아 교정 기본 정보(시기, 가격, 교정 유형 등) (0) | 2022.11.15 |
치아 스케일링 후 주의 사항 (0) | 2022.11.13 |
치아 스케일링 기본 정보 총정리(비용, 보험 적용, 주기 등) (0) | 2022.11.13 |
임플란트 건강보험 적용 기준(만 65세 이상, 치아 2개까지) (0) | 2022.10.21 |
댓글